극적인 공간을 만드는 디테일s/식물

봄부터 여름까지 다양한 빛깔과 형태로 정원을 돋보이게 하는 <조팝나무>

magicalelf 2024. 5. 2. 00:20
반응형

앞선 내용에서 4월의 거대한 눈꽃뭉치와 같은 꽃나무, <불두화>와 <설구화>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같은 계절, 하얗고 작은 눈꽃송이와 같은 꽃나무가 있죠. <조팝나무>입니다.

 

외래종들을 번식하고, 키워 판매하고 있는 한 농장주는 매일 새로운 품종들이 유통되고, 또 새로운 식물을 찾는 사람들을 만나며 현재의 우리나라 원예시장은 "르네상스시대와도 같다" 이야기하기도 합니다. 조팝나무 또한 처음 정원일을 시작하던 25여 년 전, 우리나라에는 '설유화'라고도 불리는 잔잔한 꽃들이 모여 피는 가는잎조팝나무, 조그만 눈뭉치와 같은 공조팝나무, 이렇게 두 품종 정도 흔하게 유통되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삼색조팝나무, 황금조팝나무... 꽃과 잎색 또한 다양한 여러 조팝나무가 시장에 퍼진 지도 꽤 시간이 지났습니다. 요즘 한창 예쁜 나무이기도 하기에, 오늘은 <조팝나무>에 대해 조금 깊게 들어가 보려고 합니다. 

 

조팝나무(영명:  Bridal wreath, 학명: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f. simpliciflora Nakai)

조팝나무는 장미목(Rosales), 장미과(Rosaceae), 조팝나무속(Spiraea), 만첩조팝나무종(S. prunifolia)으로 분류되는 높이 1~2정도의 낙엽활엽관목입니다. 4~5월이면 하얗게 피어 울타리를 장식하는 나무입니다. 꽃이 하얗게 덮였을 때의 모양이 조로 밥을 지었을 때의 모양 같다고 해서 '조밥나무'라 불렸는데, 발음 때문에 '조팝나무'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고, 좁쌀을 튀겨놓은 것 같다고 해서 그렇게 이름이 붙여졌다는 유래도 있습니다. 한국과 중국 등지에 분포합니다.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f. simpliciflora Nakai) [출처] https://species.nibr.go.kr/

 

국가생물다양성센터에 따르면 '조팝나무'의 학명을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f. simpliciflora Nakai' 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부르는 '조팝나무'는 다양한 조팝나무속(Spiraea) 품종을 통칭하는 단어로, 품종에 따라 표현어구를 붙여 '000조팝나무'라 부르고 있습니다. 조팝나무속(Spiraea) 식물의 하위종들은 약 80~100여 종이 있다고 하며, 대표적으로 몇가지만 대표적으로 열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공조팝나무 (Spiraea cantoniensis Lour.)
  • 둥근잎 조팝나무 (Spiraea betulifolia Pall. / Spiraea blumei G.Don)
  • 참조팝나무(Spiraea fritschiana Schneid)
  • 좀조팝나무(Spiraea microgyna Nakai)
  • 일본조팝나무(Spiraea japonica L.f.)
  • Spiraea media의 하위 종으로 긴잎조팝나무(Spiraea media Schmidt var. media) 와 털긴잎조팝나무(Spiraea media var. sericea (Turcz.) Regel ex Maxim.)
  • 만첩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의 하위종으로 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 꼬리조팝나무(Spiraea salicifolia L.)
  • 가는잎조팝나무(Spiraea thunbergii Siebold ex Blume)

 

학명의 'Spiraea'는 그리스어 스페이라(speira)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는 꼬인다는 뜻으로, 열매가 꼬인 것처럼 보인다는 의미를 표현한다고 합니다.

 

반응형


만첩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f. simpliciflora Nakai)

사실, 국가생물다양성센터에서 <조팝나무>의 학명으로 지칭하는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f. simpliciflora Nakai' 품종은 <만첩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의 하위종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아래 그림은 1817~1847년 사이, 각각 미주리 보테니컬 가든(Missouri Botanical Garden)과 스위스 취리히 ETH도서관(ETH Bibliothek)에서 제작된 <만첩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의 세밀화입니다. 

1.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U.S.A.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1817), / 2. ETH Bibliothek, Zurich, Switserland,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1847) / 3.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U.S.A., 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 (1847) [출처] http://www.plantillustrations.org/

 

 

만첩조팝나무 종류인 Spiraea prunifolia 품종의 영명은 'Brical wreath'입니다. 그 이유는 이 나무의 긴 줄기에 핀 순백색 꽃은 화환으로 만들기 좋기에, 특별한 날 리스를 만들어 머리에 쓴 데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한글명으로는 '겹조팝나무'라고도 불립니다.

 

 

장미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Plena')

만첩조팝나무(Spiraea prunifolia Siebold & Zucc.)의 하위종으로, 흔히 '장미조팝나무'라 부르는 Spiraea prunifolia 'Plena' 또한 잘 알려진 품종 중 하나입니다. Bridalwreath Spirea라고도 불리는 이 나무는 꽃송이가 장미모양을 가진 특색이 있는데, 특히 신부 화환을 만드는 소재로서 오랫동안 사랑받아왔다고 합니다. 

장미조팝나무 ( Spiraea prunifolia 'Plena') [출처] https://landscapeplants.oregonstate.edu/

 

 

공조팝나무(Spiraea cantoniensis)

공조팝나무의 종류인 'Spiraea cantoniensis'는 Reeve's spirea, bridalwreath spirea , double white may , Cape may or may bush의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는 것은 그만큼 깊은 역사와 함께 사랑받는 품종이라는 증명이기도 합니다. 중국원산의 품종으로 식물의 형태는 '아치형 가지를 따라 피어나는 거품 같다.' 표현으로 묘사됩니다. 

Spiraea cantoniensis 품종 [출처] https://en.wikipedia.org/

 

 공조팝나무의 원예종 


반호테 조팝나무(Spiraea × vanhouttei (Briot) Zabel.)

공조팝나무의 교잡종으로 '반호테 조팝나무 (Spiraea × vanhouttei (Briot) Zabel.)' 품종이 있습니다. 이 품종은 인공적인 교잡을 통해 만들어진 원예종으로, 생육조건이 까다롭지 않고, 화려한 봄 꽃을 자랑하는 S. trilobata x S. cantoniensis간의 잡종 교배를 통해 만들어졌습니다. 작고 짙은 청록색 잎을 가지고 있으며, 울타리용으로 많이 식재됩니다.

 

학명의 'vanhouttei'는 벨기에의 원예사이자 보육원장이자 벨기에 왕립식물학회의 명예 회원이었던 루이스 반 호테(Louis Benoit van Houtte) 1810-1876에게 헌정하는 이름이라고 합니다. 그는 벨기에 보육원과 식물학자 간의 긴밀한 협력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준 인물로서, 벨기에의 원예가 영국으로부터 독립되어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공헌한바가 크다고 합니다.  그는 또한 타국으로의 탐험을 통해 난초를 수집하고, 원예학에 관한 전문저널을 창립하는데 기여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습니다. 

반호테 조팝나무( Spiraea * vanhouttei (Briot) Zabel.) [출처] https://plants.ces.ncsu.edu/

 

또한 반호테 조팝나무(Spiraea x vanhouttei)는 '핑크 아이스(pink ice)', '르네상스(renaissance)' 와 상표명 Firegold® 를 사용하는 'Levgold' 등의 여러 하위품종이 있습니다. 

1. Spiraea x vanhouttei ' pink ice' [출처] https://www.gardenia.net/&nbsp; / 2. Spiraea x vanhouttei ' renaissance' [출처] https://www.mckaynursery.com/


 

둥근잎 조팝나무(Spiraea betulifolia Pall.)

둥근잎 조팝나무(Spiraea betulifolia Pall.)는 이름과 같이 잎이 넓은 타원형의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서울 북한산에 자생하는 한국 고유종으로, 이른 봄에 꽃이 피는 다른 품종들과는 달리 7월 경에 흰색꽃이 핀다고 국립생물자원관은 보고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일본, 동시베리아까지 온대지역에서 서식합니다.

둥근잎 조팝나무( Spiraea betulifolia Pall.) [출처] https://powo.science.kew.org/

 

728x90

일본조팝나무 (Spiraea japonica L.f.) 

일본조팝나무라고 부르는 'Spiraea japonica L.f.' 품종입니다. 분홍과 자주빛을 띈 꽃을 가진 이 품종은 일본, 중국, 한국을 원산지로 하나, 1870년경 관상용 조경식물로 미국 북동부주에 도입되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 등지에서 정원소재로서 인기를 얻고 있는 품종입니다. 

일본조팝나무 (Spiraea japonica L.f.) [출처] https://en.wikipedia.org/

 

 

 일본조팝나무의 원예종 


황금조팝나무(Spiraea japonica 'Gold Mound')

황금조팝나무(Spiraea japonica 'Gold Mound')는 일본조팝나무의 원예종으로 S. japonica  'Alpina'와  S. japonica  'Goldflame'  간의 잡종 교배로 태어났다고 합니다.  일본조팝나무(Spiraea japonica L.f.)와  습성은 유사하나 생육이 늦은 특성이 있습니다. 6~7월에 피는 붉은색 꽃과 연둣빛의 잎으로 조경용으로 인기가 좋은 품종입니다. 특히 울타리용이나 Rock garden을 조성하는 데 있어 많이 활용되는 품종입니다.

황금조팝나무(Spiraea japonica 'Gold Mound') [출처] https://www.thespruce.com/

 

 

삼색조팝나무 (Spiraea japonica 'Goldflame') 

삼색조팝나무 (Spiraea japonica 'Goldflame') 또한 일본조팝나무의 원예종이며, 황금조팝보다는 생육이 빠른 특성이 있습니다. 멋진 단풍으로 유명한 이 품종은 봄에는 청록색과 빨간색으로, 여름에는 황록색, 가을에는 주황색, 빨간색, 노란색으로 잎색이 변하며, 늦봄부터 초여름까지는 핑크색의 꽃이 피는 아름다운 나무입니다. 

삼색조팝나무 (Spiraea japonica 'Goldflame') [출처] https://landscapeplants.oregonstate.edu/

 

 

크리스파조팝 (Spiraea japonica 'Crispa')과 기타 일본조팝의 원예종들

일본조팝나무의 원예종으로 또 다른 아름다운 품종이 있습니다. 크리스파조팝 (Spiraea japonica 'Crispa')은 국내에 최근 유통되기 시작한 품종으로, 날카로운 톱니바퀴모양의 잎이 특징적입니다. 늦은 봄부터 한여름까지 피는 자주빛의 꽃과 더불어 잎의 질감으로 인해 유럽에서 정원용으로 인기가 높다고 합니다. 

크리스파조팝 ( Spiraea japonica 'Crispa')

 

기타 인기를 얻고 있는 일본조팝의 원예종으로 스파클링 샴페인조팝 (Spiraea japonica 'Sparkling Champagne'), 더블플레이빅뱅조팝 ( Spiraea japonica ' Tracy') 등이 있습니다. 


 

꼬리조팝나무(Spiraea salicifolia)

꼬리조팝나무의 종류인 'Spiraea salicifolia' 품종은 유럽 중동부, 카자흐스탄, 시베리아 전역, 러시아 극동 지역, 몽골, 중국 북부, 한국, 일본 등 비교적 넓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습니다. 5~9월 사이 개화하는 이 품종은 1753년 스웨덴의 생물학자이자 의사인 칼 린네(Carl Linnaeus)가 처음 기술하였다고 합니다. 유럽에서도 오랜 역사와 함께 정원에서 자주 만날 수 있는 소재입니다. 

Spiraea salicifolia 품종 [출처] https://en.wikipedia.org/

 

 

 

가는잎 조팝나무(Spiraea thunbergii Siebold ex Blume)와 설유화(Spiraea thunbergii)

국립생물자원관에 의하면, 가는잎 조팝나무의 학명은 'Spiraea thunbergii Siebold ex Blume'로 명명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라며, 3~4월에 흐드러지게 핀 흰색 꽃이 아름다워 꽤 오랫동안 관상용으로 인기 있던 품종입니다. 흔히 '설유화'라고 부르는 Spiraea thunbergii 품종의 하위종으로 분류됩니다. 

 

가는잎 조팝나무 종류인 'Spiraea thunbergii'는 Thunberg spiraea, Thunberg's meadowsweet라고도 불립니다. 학명의 ' thunbergii' 는 스웨덴의 식물학자이자 식물 수집가인 칼 피터 툰베리(Carl Peter Thunberg)를 기리고자 명명되었으며, 그는 스웨덴의 생물학자이자 의사인 칼 린네(Carl Linnaeus)의 제자였다고 합니다. 한국어로는 <설유화> 중국어로는 젠주슈셴지(珍珠绣线菊), 일본어로는 유키야나기(yuki-yanagi)라고도 불립니다. 

설유화(Spiraea thunbergii) [출처] https://en.wikipedia.org/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