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제주에 한창 예쁘게 피어있는 하얀 눈덩어리 모양의 봄꽃나무, 불두화에 대해서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더불어 비슷하게 생겨 헷갈리는 꽃나무이죠. 설구화와 목수국에 대해서도 알아볼까 해요.
제주의 여름수국은 너무나 유명하죠. 하지만 개인적으로 조경소재로서는 수국보다 불두화와 설구화, 목수국을 선호합니다. 꽃꽂이를 즐기는 분이라면 수국 몇 그루를 정원에 심어 장식에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게다가 ph농도에 따라 꽃색이 달라지는 수국은 그 인기를 증명하듯 품종도 다양하게 개발되어 있습니다. 수국에 대해서는 여름 언저리에 더욱 자세히 이야기해 보기로 하고, 오늘의 주인공은 '불두화'입니다.
불두화(학명 :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Nakai) Hara)
국가생물다양성센터에 따르면 불두화의 학명은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Nakai) Hara입니다. Magnoliophyta(현화식물문), Magnoliopsida(목련강), Dipsacales(산토끼목), Viburnaceae(산분꽃나무과), Viburnum(산분꽃나무속)에 속하는 낙엽활엽관목입니다. 높이는 3~6m까지 자라며 늦은 봄에 개화합니다. 백당나무(Viburnum sargentii Koehne)를 개량한 종으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됩니다. '부처님 오신 날인 4월 초파일을 전후해서 피어난다'하여 <불두화(佛頭花)>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합니다.
학명에 일본인의 이름이 들어있고, 큐 가든의 세계식물정보 상 2014년 Chang, C.S., Kim, H. & Chang, K.S. 의 연구논문에 언급된 것 이외 다른 정보가 없는 것으로 보았을 때 일본인이 개량한 품종이며, 주로 한국에서만 인기를 얻고 있는 품종으로 추측됩니다.
'불두화' - 유러피언 스노우볼(European Snowball) - Viburnum opulus var. 'Roseum'
그도 그럴 것이 스노우볼(Snowball) 또는 유러피언 스노우볼(European Snowball)이라 불리는 Viburnum opulus var. 'Roseum' 품종이 있는데, 꽃과 잎을 비롯한 식물상이 '불두화(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Nakai) Hara)'와 매우 유사합니다. 높이가 3~4m에 달하며, 5월에 개화하는 낙엽활엽수로 처음에는 흰색-녹색, 그다음에는 흰색, 꽃이 지면 일부 분홍색으로 변하는 특성이 있어 '로지움(Roseum)'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 합니다. 흰색-녹색에서 흰색꽃으로 변화하는 불두화의 개화특성과도 유사합니다. 이 Viburnum opulus var. 'Roseum' 품종은 16세기 유럽에서 재배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이 품종은 Adoxaceae과 Viburnum속에 해당하는 품종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Viburnaceae는 2016년에 보존명으로 채택되었으므로 [Taxon 65(4):878-879, August 2016], Adoxaceae에 속한다고 알려진 모든 분류군에 대해 Adoxaceae 대신 Viburnaceae를 사용해야 하는 바, 같은 뿌리가 맞습니다.
Viburnum opulus는 영명으로 ' guelder rose'라 불리는데, 'guelde'는 네덜란드의 헬데를란트(Gelderland) 지방을 어원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guelder rose'의 한글명은 '불두화'입니다.
따라서 흔히 우리가 알고 있는 '불두화'는 Viburnum opulus f. hydrangeoides (Nakai) Hara)이지만, Viburnum opulus에 속하는 모든 품종을 '불두화'라 부르는 것으로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설구화 (Viburnum plicatum)
설구화 (Viburnum plicatum)도 Adoxaceae과 Viburnum속에 해당하는 품종으로 중국, 한국, 대만, 일본 등을 원산지로 합니다. 우리말로 '수구화'라고도 하고, 영명으로는 Japanese Snowball Viburnum로 불립니다. 키가 3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관목으로 불두화와는 잎의 형태에 있어 차이가 있습니다. 동그란 꽃과 꽃잎 또한 불두화보다 크기가 큰 편입니다. 하지만, 동그란 하얀색 볼 형태의 꽃과 개화시기가 불두화와 비슷하여 헷갈릴 수 있습니다. plicatum은 "주름진"이라는 뜻으로 잎의 질감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설구화 핑크(분홍) 오데마리 (オオデマリ, oodemari) '라 불리는 Viburnum pricatum f. 'Pink sensation' 품종 또한 개발되어 원예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나무수국(목수국, 학명: Hydrangea paniculata Siebold)
나무수국은 Magnoliophyta(피자식물문), Magnoliopsida(목련강), Rosidae(장미아강), Rosales(장미목), Hydrangeaceae(수국과), Hydrangea(수국속)의 분류체계를 가지며, 높이 2~3m에 달하는 낙엽활엽관목입니다. 국가생물다양성센터에서는 '나무수국'을 Hydrangea paniculata Siebold의 학명으로 이야기하고 있으나, '원추형 수국'이라 불리는 목본성의 Hydrangea paniculata를 통칭하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나무수국의 꽃은 수국과 같이 여름, 7~8월에 개화하며, 한국, 중국, 일본 등지에 서식합니다.
원예종으로 '유럽 목수국'이라 불리는 다양한 품종이 개발되어 인기를 얻고 있는데, 그 종류로는 Hydrangea paniculata 'Grandiflora', Hydrangea paniculata 'Greenspire', Hydrangea paniculata 'Limelight', Hydrangea paniculata 'Phantom', Hydrangea paniculata 'Tardiva', Hydrangea paniculata Diamond Rouge, Hydrangea paniculata Fire Light, Hydrangea paniculata Little Lime 등이 있습니다.
꽃꽂이 소재로서 인기있는 'Snowballs'
아래 그림은 프랑스화가 '앙리 팡탱 라투르(Henri Fantin-Latour) 1836~1904'와 '앙리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의 그림에 표현된 Snowballs입니다. 영명으로 'Snowball Tree'라 부르는 품종은 불두화(Viburnum opulus var. 'Roseum') 를 비롯하여 설구화(Viburnum plicatum), Viburnum carlcephalum, Viburnum Macrocephalum, Viburnum plicatum 'Grandiflorum' 등 다양하기에, 그림 속 Snowball이 어떤 품종인지 정확히 알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Viburnaceae(산분꽃나무과), Viburnum(산분꽃나무속)에 해당하는 품종 중 하나일 것이다 정도로는 추측이 가능합니다.
그림을 통해 snowball이 당시 유럽의 정원 및 꽃꽂이 소재로서 사랑받았던 나무임을 느낄 수 있습니다.
18~19세기 화가들의 그림을 통해 그 시대의 꽃장식을 소재 및 디자인을 살펴볼 수 있는데요. '앙리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는 꽃과 식물장식을 다양한 스타일로 묘사했습니다. 또한 그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식물로는 '몬스테라'가 있습니다. 몬스테라와 앙리마티스의 이야기, 앙리마티스의 일생과 그의 공간에 대한 이야기는 앞서 다룬 바가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2024.04.05 - [극적인 공간을 만드는 디테일s/식물] - 앙리마티스(Henri Matisse)가 사랑한 실내식물 '몬스테라'
앙리마티스(Henri Matisse)가 사랑한 실내식물 '몬스테라'
오늘은 실내식물의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오랫동안 우리 공간에서 사랑받고 있는 실내식물 '몬스테라(Monstera)'입니다. 몬스테라(영명: Monstera spp. / 학명: Swiss cheese plant) 몬스테라(영명: Monstera
spacetrek.tistory.com
2024.03.06 - [예술가의 공간] -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가 머물던 '프랑스 니스(Nice)' 그리고 그의 공간을 담은 그림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가 머물던 '프랑스 니스(Nice)' 그리고 그의 공간을 담은 그림
최근의 이야기들이 프랑스에 빠져있죠. 이번에는 프랑스의 색채화가 '앙리 마티스(Henri Matisse) 1869~1954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얼마 전부터 국내에서 앙리마티스의 그림이 꽤 인기를 얻고
spacetrek.tistory.com
어떠한 한글명이 붙여질지 궁금한 또 다른 Snowballs 품종들
연구논문을 비롯한 다양한 자료를 살펴본 바, 'Viburnum opulus' 품종은 <불두화>라는 이름으로, 'Viburnum plicatum' 품종은 <설구화>라는 이름으로 국내에 유통되어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이 두 품종 모두 'Snowball'로 영명은 같습니다. 같은 영명으로 불리는 꽃과 형태, 식물상 등이 유사한 다른 품종들이 많은데, 예를 들어 Viburnum carlcephalum, Viburnum Macrocephalum 등의 품종들은 유럽, 미국, 중국 등지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나, 아직 국내에는 소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설구화 (Viburnum plicatum)가 'Japanese Snowball Viburnum'이라 불리듯, Viburnum Macrocephalum 품종은 'Chinese Snowball Viburnum'이라 일컬어집니다.
이 다른 'Snowball'들이 국내에 들어온다면 어떤 이름이 붙여질지 궁금합니다.
'극적인 공간을 만드는 디테일s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일락과 유사한 연보라빛 봄의 꽃나무 <팥꽃나무> (0) | 2024.05.03 |
---|---|
봄부터 여름까지 다양한 빛깔과 형태로 정원을 돋보이게 하는 <조팝나무> (1) | 2024.05.02 |
가장 먼저 여름을 여는 포근한 노란빛의 장미- <목향장미> Rosa Banksiae 'Lutea' (1) | 2024.04.27 |
다양한 매력과 쓰임을 가진 탐나는 나무 <유칼립투스> (0) | 2024.04.23 |
원초적인 아름다움에서 장식적인 화려함으로 <스모크 트리> (2) | 2024.04.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