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로 만난 공간

영화 <레이니 데이 인 뉴욕>을 통해 이야기하는 아트 갤러리 홈(Art Gallery Home) 공간 디자인

magicalelf 2024. 3. 14. 22:41
반응형

요즘 듄 2와 티모시 샬라메 (Timothée Chalamet)에 관한 관심이 많죠. 오래전 <콜 미 바이 유어 네임>을 보고는 참 매력적인 청년이다. 생각했는데... 좋은 작품에서 자주 볼 수 있어 좋습니다. 오늘은 그의 또 다른 영화 <레이니 데이 인 뉴욕>을 보고 영화 속에 등장하는 공간에 대해 이야기 나누어볼까 합니다.

 

영화 속 주인공인 개츠비와 애슐리 모두 부유한 집안의 대학생들로 그들의 집과 친구의 집, 호텔 스위트룸... 등 영화에 등장하는 공간 대부분이 로맨틱 클래식스타일의 사치스럽고 고급스러운 느낌이에요. 오늘의 이야기는 그보다도 개츠비의 형, 영화감독 롤란 폴라드, 영화배우 프란시스코 배가의 공간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들 또한 부유하거나 저명한 인물들로 그들의 경제력과 트렌드 및 감각을 공간으로 보여주려는 듯한 영화 속 의도가 느껴지는 공간입니다.  생활 속에서 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디자인된 '아트 갤러리 홈(Art Gallery Home)' 정도로 명명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레이니 데이 인 뉴욕
상상해 봐요 막 떨어지기 시작한 빗방울 센트럴 파크 델라코트 시계 아래 누군가 당신을 기다리고 있다면... 재즈를 사랑하는 ‘개츠비’(티모시 샬라메) 영화에 푹 빠진 ‘애슐리’(엘르 패닝) 뉴욕이 좋은 ‘챈’(셀레나 고메즈) 매력적인 세 남녀가 선사하는 로맨틱 해프닝!
평점
6.8 (2020.05.06 개봉)
감독
우디 앨런
출연
티모시 샬라메, 엘르 패닝, 셀레나 고메즈, 주드 로, 리브 슈라이버, 벤 워하이트, 그리핀 뉴먼, 윌 로저스, 애나리 애쉬포드, 레베카 홀, 메리 보이어, 테드 뉴스타트, 디에고 루나, 켈리 로르바흐, 테일러 블랙, 수키 워터하우스, 자콥 베르제

 

아트 갤러리 홈 (Art Gallery Home)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공간을 흔히 '갤러리 하우스'라고 이야기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홈(Home)'과 '하우스(House)'는 차이가 있죠. 우선 '하우스(House)'는 물리적인 <건물>을 가리키는 말로 벽, 문, 창문, 지붕과 같은 구조적인 요소를 포함한 주거용 건물을 의미합니다. 반면, '홈(Home)'은 더 감성적이고 개인적인 의미를 담고 있죠. 가족이 함께 사는 장소, 안락하고 정이 넘치는 공간, 또는 개인의 소속감과 안정감을 느낄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합니다. 보다 편안함과 소속감이 느껴지는 그야말로 <나와 가족이 사는 편안한 집>의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주거공간을 일컬을 때 '홈'보다는 '하우스'를 이야기하는 것은 주로 소비자의 입장 보다 건축가나 설계자의 입장에서 공간을 소개하는 경우가 많으니 그러한 단어가 더욱 익숙하게 자리 잡은 것 아닌가 싶습니다.  

 

생활 속에서 즐기는 예술

'아트 갤러리 홈(Art Gallery Home)'은 예술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의 느낌을 주거공간 안으로 가져와 생활 속에서 예술을 즐길 수 있도록 디자인된 곳이라 설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술작품과 조화를 이루는 가구와 소품배치를 통해 고급스러움과 개성을 강조하는 것이 특징이죠. 이러한 공간은 주로 전시된 작품과 공간을 돋보이기 위해 흰색 벽과 높은 천장의 구성 안에서 벽, 기둥, 가구, 소품 등을 활용한 포인트 장식으로 분위기를 특색 있게 만드는 특성이 있습니다. 

 

 

 

따뜻한 톤의 공간 색상 

극 중 영화감독으로 나오는 롤란 폴라드의 공간입니다. 우선 그림을 돋보이게 하는 흰색 벽을 제외하고 공간의 톤을 갈색과 붉은색의 어두운 톤으로 설정하였습니다. 그러한 색상은 편안하고 안정적인 분위기로 어쩌면 딱딱할 수 있는 공간을 포근하게 만들어 줍니다. 

조명 역시 따뜻함을 더하는데 한몫합니다. 부드러운 빛을 내는 펜던트 조명은 공간에 포근한 빛을 더하며, 갤러리 홈의 아늑한 분위기를 강조합니다. 

 

공간을 연결하는 기둥의 독특한 마감처리

특히, 벽돌처럼 보이는 기둥의 마감재가 인상적입니다. 공간의 색상이 다른 두 벽체를 사이에 두고 따뜻한 컬러로 연결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공간에 질감과 개성을 더합니다. 흔하지 않은 기둥의 마감처리로 공간의 독특한 매력을 배가시킵니다. 

 

실용적이면서도 세련된 디자인 / 개방적인 분위기 / 예술적 영감을 받을 수 있는 주거환경

공간의 가구배치는 실용적이면서도 세련된 디자인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거실 소파와 쿠션은 편안함과 따뜻한 색감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붉은색의 의자와 쿠션은 공간의 포인트 컬러로 작용하고요.

다이닝 공간은 다수의 사람들을 수용할 수 있는 긴 식탁과 의자로 구성되어 개방적인 분위기를 연출합니다. 벽면에 걸린 여러 작품들은 식사하면서 예술을 감상하며 대화할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개인의 취향과 예술적 감각이 반영된 갤러리와 같은 공간으로 주거공간이면서도 예술적 영감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내죠. 

 

 

 

독특한 미적감각의 전달_ 기하학적인 독특한 디자인의 화병 / 길고 세련된 줄기를 가진 꽃의 어레인지

공간은 화이트 / 그레이 / 벽돌색으로 구성되며 포인트는 붉은색으로 구성돼있습니다. 주방에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화병과 꽃의 디자인입니다. 기하학적인 형태를 띠고 있는 화병은 현대적이고 조각품과 같은 이미지를 줍니다. 이러한 디자인은 공간에 현대적인 아트갤러리의 분위기를 더하며, 주변의 모던한 인테리어와도 잘 어울립니다.

 

화병 속의 꽃은 꽃바나나(학명: Musa coccinea Andr.)로 보입니다. 빨간색의 포인트 컬러를 꽃으로도 표현하고 있습니다.

 

길고 세련된 줄기에 진한 빨간색의 꽃은 독특한 미적감각을 전달합니다. 꽃의 형태는 화병의 현대적인 디자인과 대비되면서도 조화를 이루며, 갤러리 홈(Gallery Home)의 개성을 한층 돋보이게 합니다. 

 

 

 

 

인더스트리얼 디자인(Industrial Design) _ 현대적인 감각을 나타내는 공간스타일과 컬러

다음은 개츠비 형의 집입니다. 높은 천장의 공간에 그림이 걸린 흰색의 벽이 있습니다. 나머지 벽면은 노출콘크리트, 벽돌로 마감되어 있으며, 계단의 핸드레일은 금속과 유리로 되어 있어 인더스트리얼 디자인 스타일(Industrial Design Style)의 성격을 띱니다. 특히 벽돌벽의 포인트는 빈티지한 느낌을 주면서 공간에 풍부한 질감을 더합니다.  공간의 전체 컬러는 앞의 공간과 마찬가지로 화이트 / 벽돌색 / 그레이의 주조색으로 포인트컬러는 레드로 꾸며져 있습니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스타일과 컬러는 현대적인 감각을 나타내는데 효과적입니다. 

 

명암과 붓터치가 강조된 강렬한 인상의 그림, 리듬감 있는 배치

거실 소파 뒤에는 명암과 대담한 브러시 스트로크( stroke)로 구성된 그림이 위치합니다. 3면으로 분할된 그림은 공간에 리듬감을 줍니다.  흰색 벽에 위치한 이러한 그림은 강렬한 인상을 주며, 공간에서의 예술적 가치와 중요성을 높입니다. 

 

현대적인 디자인의 가구와 소프트한 직물을 통한 편안함 제고

가구들은 현대적인 디자인을 가지고 있지만, 쿠션과 소프트한 직물로 인해 편안함을 제공합니다. 이는 예술적인 환경 속에서도 일상의 편안함을 잃지 않게 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는 현대적이면서도 따뜻한 감각의 주거공간을 조성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웅장함과 클래식함,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하고자 하는 갤러리 홈(Gallery Home)

영화 속에 등장하는 프란시스코 베가라는 영화배우의 집입니다. 이 공간은 클래식하고 고급스러운 디자인요소를 현대적인 감각과 섞어놓은 인테리어 스타일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간은 넓고 개방적인 구조로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먼저 눈에 띄는 것은 기둥입니다. 기둥은 클래식한 건축양식을 연상시키는 조각이 섬세하게 새겨진 정교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둥은 공간에 역사적인 멋과 웅장함을 더해줍니다. 

 

클래식(Classic)과 모던(Modern)의 믹스 앤 매치(Mix and Match)

벽에 걸린 예술작품들은 모던하고 추상적인 스타일을 띄고 있으며, 이는 공간에 현대적이고 예술적인 감각을 부여합니다. 그림과 소품, 기타 건축적 요소를 사용하여 클래식과 모던을 공간안에서 잘 어우러지게 연출한 사례입니다. 이러한 디자인은 공간에 깊이와 시각적 넓이를 제공하며, 감탄과 영감을 주는 다음과 같은 독특한 느낌을 전달합니다. 

 

시간을 초월한 아름다움_ 클래식한 요소들은 전통과 역사를, 모던한 요소들은 현재의 트랜드와 미래지향적인 감각을 담고 있습니다. 이 두 스타일이 혼합됨으로서 공간은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시간을 초월한 아름다움을 발산합니다. 

 

다층적인 매력_ 클래식한 요소는 공간에 중후함과 고급스러움을, 모던한 요소는 심플함과 깔끔함을 더해줍니다. 이 두 스타일을 적절히 조화시키면 복합적인 매력이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습니다.

 

개성있는 표현_ 클래식과 모던의 조합은 예상치 못한 시각적 효과를 만들어내며, 공간에 개성과 창의성을 불어넣습니다. 이는 주거공간에 개인의 취향과 스타일을 반영하는데 효과적입니다.

 

유연한 스타일링_ 클래식 요소가 공간에 무게감을 주는 반면, 모던 요소는 이를 경쾌하고 현대적으로 중화시킵니다. 이로 인해 다양한 인테리어 스타일링이 가능하게 되며, 공간을 더욱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대화의 창출_ 클래식과 모던요소가 섞인 인테리어는 사람들 사이의 대화를 자극하는 흥미로운 요소가 됩니다. 각기 다른 시대를 대표하는 디자인이 만나 새로운 이야기와 해석을 만들어냅니다. 

 

 

생활의 여유와 즐거움을 추구하는 공간

방안에 위치한 당구대는 이 공간이 생활의 여유와 즐거움을 추구하는 다목적 공간임을 보여줍니다. 이는 집안에서 예술품의 감상 뿐 아니라 사회적인 활동과 오락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현대적인 주거트랜드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따뜻함, 친근함, 우아함, 세련됨, 생동감, 편안함... 공간의 느낌을 풍부하게 하는 가구와 소품들

영화 속 배경에 등장하는 가구와 소품, 식물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습니다. 소파와 쿠션은 편안한 색감과 질감으로 따뜻함을 강조합니다. 조명 또한 아늑하고 친근한 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합니다. 다양한 높이와 디자인의 장식용 병들은 심플하지만 우아한 디자인으로 공간에 세련됨을 더합니다. 식물은 공간에 생동감을 부여합니다. 자연적인 요소는 편안함과 상쾌함을 제공하며 자연과의 연결성을 부여합니다. 

 

 

 

로프트스타일 디자인(Loft Style Design)_ 보다 자유롭고 창의적인  라이프스타일의 표현

공간의 높은 층고는 로프트스타일(Loft Style)의 인테리어를 가능하게 합니다. 높은 천장은 공간을 수직적으로 확장할 수 있게끔 합니다. 그렇게 마련된 중간층의 침실은 천정까지 연결된 높고 클래식한 기둥의 디테일을 좀 더 자세히 관찰할 수 있음으로서 예술적이고 섬세한 멋을 더합니다. 유리소재의 핸드레일은 공간을 확장해 좀더 개방적인 분위기를 만듭니다.  이러한 공간은 침실이 단순히 잠을 자는 공간을 넘어 보다 많은 활동을 하는 다목적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가짐을 나타냅니다. 또한 보다 다 자유롭고 창의적인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인더스트리얼(Industrial)과 로프트스타일(Loft Style) 공간디자인에 대해서는 앞선 포스팅에서 자세히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 좀 더 자세한 정보를 원한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아요.

2024.02.24 - [영화로 만난 공간] - 영화 <외계+인>에서 만난 '인더스트리얼(Industrial)과 로프트 스타일(Loft Style)' 공간디자인에 관하여

 

영화 <외계+인>에서 만난 '인더스트리얼(Industrial)과 로프트 스타일(Loft Style)' 공간디자인에 관하

외계+인 1부 “아주 오래전부터 외계인은 그들의 죄수를 인간의 몸에 가두어 왔다” 2022년 현재, `가드`(김우빈)와 `썬더`는 인간의 몸에 가두어진 외계인 죄수를 관리하며 지구에 살고 있다. 어

spacetrek.tistory.com

 

오늘은 영화 <레이니 데이 인 뉴욕>에 등장하는 '아트 갤러리 홈(Art Gallery Home)'에 대해 이야기해 봤습니다. 영화 이야기를 조금 하자면, 주인공 개츠비는 부유한 집에서 태어나 좋은 교육을 받은 똑똑한 친구지만, 극성인 엄마와 불협화음을 내며 불만이 많습니다. 엄마의 욕심에 환경이 좋은 사립대학교에 다니고 있고요. 어느날 기자의 꿈을 가진 캠퍼스커플인 여자친구 에슐리는 영화 감독의 인터뷰를 위해 뉴욕으로 가게 되고, 개츠비는 그녀와의 여행을 기대하며 동행합니다. 여자친구가 여러 상황에 얽혀 개츠비와의 약속을 어기게 되고, 개츠비는 어릴적 살던 동네에서 홀로 시간을 보내다 우연히 여러 친구와 가족들을 만나게 됩니다. 뜻하지 않는 시간을 맞이하며 개츠비는 여자친구와의 관계, 부모와의 관계, 자신... 에 대해 돌아보는 시간을 갖게 됩니다. 그러한 개츠비에게 어릴적 알고 지내던 여자친구는 여유로운 가정환경의 혜택은 모두 받으며 불만거리고 있다고 이야기를 하죠. 어릴적 좋아했다는 사랑고백과 함께요. 결국 개츠비는 마음 속 방황을 극복하는 듯 뉴욕에 머물기를 결정하고, 긍정적인 미래를 기대하게 되는 내용의 영화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