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예술가의 공간> 이야기로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에드워드 뭉크(Edvard Munch) 1863~1944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그는 노르웨이 출신의 화가로 많은 이들에게 <스크림(The Scream) 1893> 작품으로 알려져 있죠. 이 그림은 서양 미술에서 가장 호평받는 작품 중 하나입니다.
에드워드 뭉크(Edvard Munch) 1863~1944
그는 1863년 노르웨이 로텐(Loten)의 오달스브루크(Adalsbruk) 마을 농가에서 태어났습니다. 1864년 아버지가 의료장교로 임명되자, 가족은 오슬로(Oslo- 당시 크리스티아니아(Kristiania)에서 지명 변경됨)로 이사했습니다. 그의 어머니는 1868년 결핵으로 사망했고, 그가 아끼던 여동생도 1877년 사망했습니다. 그는 종종 몸이 아파 학교를 가지 못했고, 집에서 그림을 그리며 아버지에게 역사와 문학을 배웠습니다. 또한 아버지는 자녀들을 질책하며, 어머니가 하늘에서 내려다보며 자식들의 잘못된 행동을 슬퍼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뭉크는 아버지를 이렇게 기억했습니다. "내 아버지는 정신장애를 일으킬 정도로 신경질적이며, 종교에 대한 심한 압박이 있었습니다. 아버지에게서 나는 광기의 씨앗을 물려받았습니다. 내가 태어난 날부터 공포, 슬픔, 죽음의 천사들이 곁에 있었습니다."
강압적인 종교적 환경, 열악한 건강상태, 어머니 유령 이야기는 그로 하여금 환상과 악몽을 불러일으키는데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는 그늘이 있는 사람이었고, 죽음이 다가오고 있다고 끊임없이 느끼며 살았다고 합니다.
뭉크의 여동생 중 한명은 어린 나이에 정신질환 진단을 받았습니다. 그의 형제 5남매 중 한 명만 결혼했지만, 결혼 후 몇 달 만에 사망했습니다. 뭉크는 나중에 이렇게 기록했습니다. "나는 인류의 가장 무서운 두 가지, 즉 결핵과 광기의 유산을 물려받았습니다." 어렸을 적부터 줄곧 가족의 질병과 죽음을 맞이하며 그는 그 질환이 유전적 일지 모른다는 생각에 두려워했다고 합니다.
그의 가족은 가난하여 이사가 잦았고, 뭉크의 초기 그림에는 당시의 인테리어와 약병, 그림도구와 같은 주변의 물건과 풍경이 묘사되어 있습니다. 13세에 이르러 미술협회 예술가들의 작품을 처음 접하고, 노르웨이 조경학교의 작품에 감탄하기도 하였으며, 유화를 그리기 시작했습니다.
1879년 뭉크는 공학을 공부하기 위해 기술대학에 등록했고, 물리학, 화학, 수학 분야에 두각을 나타냈다고 합니다. 하지만, 잦은 질병으로 학업이 중단되었고, 이듬해 뭉크는 화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대학을 떠납니다. 예술을 하는 것에 대해 아버지와 이웃들의 지지를 얻지 못하였지만, 그는 일기에 이렇게 적었습니다. "나는 예술을 통해 삶의 의미를 나 자신에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1881년에 그는 오슬로(Oslo)에 위치한 크리스티아니아 왕립예술디자인학교에 입학했습니다. 그해 아버지의 초상화와 자신의 첫 번째 자화상을 그렸고, 인물 훈련에 대한 빠른 흡수를 보여줬습니다. 1883년 뭉크는 첫 번째 공개 전시회에 참가했습니다. 이 시기 뭉크의 누드그림은 1887년 작품인 <스탠딩 누드>를 제외하고 스케치로만 남아있으며, 그의 아버지가 압수했을 수 있다고 추측되고 있습니다.
인상주의는 어릴 때부터 그에게 영감을 주었습니다. 초기에 그는 자연주의와 인상주의를 포함한 다양한 스타일을 실험했습니다. 일부 초기작품은 마네를 연상시킨다고 이야기됩니다. 그의 여러 시도 중 다수는 언론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고, 아버지로부터의 질책이 뒤따랐습니다. 또한 한스 예거(Hans Jaeger)와 가깝게 지냈는데, 그는 자살을 옹호하기도 하는 허무주의자로 그와의 관계에 대해 아버지로 하여금 분노를 일으켰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후 뭉크는 오히려 한스 예거(Hans Jaeger)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게 되었고, 그의 독특한 스타일 또한 탄생할 수 있었습니다. 뭉크는 보헤미안적 삶을 살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는 다른 많은 보헤미안과는 달리 여성을 존중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했다고 합니다.
수많은 실험 끝에 그는 인상주의가 피상적이고 과학적 실험과 유사하다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는 더 깊이 들어가 감정적인 내용과 표현력이 넘치는 상황을 탐구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고, 예거는 그에게 자신의 정서와 심리상태를 표현해 보라 조언했습니다. 이에 뭉크는 자신의 생각을 "영혼의 일기"에 기록하면서 자기 성찰의 시간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이 깊은 관점은 그를 자신의 예술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옮기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는 여동생의 죽음을 바탕으로 한 1885~1886년의 작품, <아픈 아이(The Sick Child)>가 그의 첫 번째 영혼을 담은 그림이자 인상주의에서 벗어나 나중에 표현주의라고 불리는 스타일로 그린 첫 번째 작품이라고 기록했습니다. 이 그림은 비평가들과 그의 가족으로부터 부정적인 반응을 얻었고, 지역사회로부터도 손가락질을 받았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그가 버림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공허함, 충동적 행동을 비롯한 여러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성 인격장애'를 앓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뭉크는 또한 알코올 중독증상을 나타내기도 했습니다. 그의 친구 크리스티안 크로크(Christian Krohg)만이 그를 변호했습니다.
아래 그림은 당시 뭉크의 집과 아픈 여동생의 모습을 묘사한 그림입니다. 깊이와 감성, 그리고 새로운 스타일로 그려진 <아픈 아이(The Sick Child)> 와 비교하였을 때, 몇 년 후에 그려진 <봄(Spring)>은 빅토리아 시대의 장르 장면과 더 유사해 보입니다. 좀 더 사실적인 스타일의 그림으로 다시 돌아갔다는 느낌이 드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뭉크는 자신의 스타일을 정의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면서 1880년대와 1890년대 초에 걸쳐 다양한 붓터치와 색상 팔레트를 시도하였습니다. 1889년 작품인 <해변의 잉거 Inger on the Beach>는 또 다른 논란을 불러일으켰는데, 단순화된 형태, 묵직한 윤곽, 선명한 대비, 그리고 성숙한 스타일을 보여준다 이야기됩니다. 그의 작품은 후기 인상파의 영향을 받았지만 상징주의적인 주제의 내용으로 발전되어 주로 '마음의 상태'를 묘사했습니다.
그는 사랑, 불안, 질투, 배신과 같은 깊은 감정을 담은 주제를 묘사하는 그림을 그리게 되었으며, 1883년 <스크림(The Scream)>이 탄생했습니다. 그는 해 질 녘 산책을 하던 중 '자연의 거대하고 무한한 비명'을 들었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림의 괴로운 얼굴은 현대인의 고뇌와 동일시됩니다. 1893년과 1910년 사이에 그는 두 점의 채색버전과 두 점의 파스텔 버전을 그렸으며, 여러 장의 판화도 제작했습니다. 파스텔화 중 하나는 이후 경매에서 그림에 지불된 가격 중 네 번째로 높은 가격을 받았다고 합니다.

1889년 그는 국가장학금을 받아 파리로 유학가게 되었습니다. 그해 수용소에 투옥된 여동생을 주제로 <멜랑콜리: 로라(Melancholy: Laura)> 작품을 그렸는데, 비평가들은 "밀실 공포증을 표현하는 이 작품은 라우라의 비극뿐 아니라 그가 물려받을 수도 있는 광기에 대한 자기 자신의 두려움도 묘사합니다"라고 해석합니다.
그는 파리에서 폴 고갱(Paul Gauguin), 빈센트 반 고흐(Vincent van Gogh), 앙리 드 툴루즈 로트레크(Henri de Toulouse-Lautrec)를 만났습니다. 그들을 통해 색상을 쓰는 것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뭉크는 특히 고갱(Paul Gauguin)의 "현실주의에 대한 반동"과 "예술은 인간의 작품이지 자연의 모방이 아니다."라는 그의 신조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고갱과 독일 예술가 막스 클링거(Max Klinger)에 영향을 받은 뭉크는 자신의 작품을 그래픽 버전으로 만들기 위해 판화를 매체로 실험하였고, 1896년 첫 번째 목판화가 완성되었습니다.
뭉크에게 영향을 준 폴 고갱과, 빈센트 반 고흐에 대한 이야기는 앞서 다룬 바가 있습니다. 참고 바랍니다.
2024.03.21 - [예술가의 공간] - 폴 고갱(Paul Gauguin)이 머물던 공간들 프랑스, 폴리네시아, 타히티
폴 고갱(Paul Gauguin)이 머물던 공간들 프랑스, 폴리네시아, 타히티
오늘은 이국적인 섬 '타히티'로 여행을 떠나볼까 합니다. 열대지방의 풍경과 원주민을 신화적으로 묘사하는 '폴 고갱(Paul Gauguin)'의 이야기입니다. 폴 고갱(Paul Gauguin) 1848~1903 폴 고갱(Paul Gauguin) 18
spacetrek.tistory.com
2024.03.14 - [예술가의 공간] -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Willem van Gogh)와 떠돌던 그의 공간들
빈센트 반 고흐 (Vincent Willem van Gogh)와 떠돌던 그의 공간들
사실 '화가의 방'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예술가는 빈센트 반고흐( Vincent Willem van Gogh) 일 겁니다. 너무나 알려져 있으며 고흐의 대표작 중의 하나인 '아를의 침실 (Bedroom in Arles) '이라는 그림이
spacetrek.tistory.com
1889년 그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났고, 그는 가족을 재정적으로 책임지게 되었습니다. 아버지의 죽음은 그를 우울하게 만들었고, 자살충동에 시달리기도 했습니다. "나는 죽은 사람들과 함께 살고 있습니다. 어머니, 누이, 할아버지, 아버지... 자살하면 끝입니다. 왜 살아야 합니까?"
1892년에 뭉크는 색상으로 상징을 담아 자신의 특징적이고 독창적인 종합주의 스타일을 공식화했습니다. 노르웨이 예술가 최초의 상징주의 그림으로 간주된 1891년 작품 <멜랑꼴리(Melancholy)>는 같은 해 오슬로에서 열린 가을 전시회에 전시되었습니다. 1892년 베를린에서 뭉크는 자신이 그린 스웨덴의 극작가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버그(August Strindberg)를 만났고, 그를 포함한 작가, 예술가, 비평가로 구성된 국제적인 집단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베를린에서 4년 동안 그의 주요 작품인 <생명의 프리즈(The Frieze of Life)>에 포함될 대부분의 아이디어를 스케치했습니다. 그의 작품은 단순화되었으며, 인물화에 있어서는 정신과 심리적 상태에 대한 가장 설득력 있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포즈를 선택하기도 했습니다.
1896년 뭉크는 파리로 이주하여 <생명의 프리즈(The Frieze of Life)> 주제의 그래픽 표현에 집중했고, 목판화와 석판화 기술을 더욱 발전시켰습니다. 같은 해 그는 독일계 미술상인 사무엘 지그프리트 빙 (Samuel Siegfried Bing)의 Maison de I'Art Nouveau에서 그의 작품 60여 점을 전시하였는데, 그 전시는 프랑스 관객에게 뭉크를 소개하는데 도움이 되었고, 그의 재정적 상황은 상당히 개선되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전시회가 큰 관심과 성황을 이뤘음에도 많은 파리 비평가들은 여전히 그의 작품을 "폭력적이고 잔인하다."라고 여겼습니다.
그는 1897년, 노르웨이의 작은 마을 아스가르드스트란드(Åsgårdstrand)에 18세기 후반에 지어진 작은 어부의 오두막을 여름별장으로 구입했습니다. 크리스티아니아 피요르드(Au bord du fjord de Christiania)를 마주한 이 집을 그는 "행복한 집"이라 불렀고, 이후 20년 동안 거의 매년 여름을 보냈다고 합니다. 그가 해외생활을 하며 우울하고 지칠 때면 이 집을 항상 그리워했습니다. 그는 "아스가르드스트란드(Åsgårdstrand)를 걷는 것은 내 그림 속을 걷는 것과 같습니다. 저는 여기에 있을 때 그림을 그리는데 많은 영감을 받습니다." 라는 말로 이 집을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뭉크의 아스가르드스트란드(Åsgårdstrand) 공간
- 1898년, 그가 34세이던 때 첫 번째 구입한 부동산으로 매년 그의 영구 여름 거주지가 되었으며, 1944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그의 소유였던 공간
- 1885년 여름, 뭉크는 베스트폴(Vestfold)의 레(Borre)에서 휴가를 보냈습니다. 그리고 그의 화가 친구 한스 헤이에르달(Hans Heyerdahl)의 휴가지인 아스가르드스트란드(Åsgårdstrand)로 여행을 떠났습니다. 그는 이곳에서 밀리 탈로(Milly Thaulow)를 만나 관계를 시작하게 됩니다. 그녀와의 관계는 당시 그의 작품에서 은밀한 만남, 격렬한 열광, 질투와 고뇌에 대한 감정으로 표현되었습니다. 밀리와의 관계는 끝났지만, 1898년, 그는 이곳에 첫 번째 부동산을 구입했습니다.
- 집 뒷면 바닷가 쪽으로는 뭉크의 작은 작업실이 있으며, 이곳은 당시 뭉크가 지내던 공간의 흔적이 현재까지 비교적 잘 보관되어 있다고 합니다.









- 밀리 탈로(Milly Thaulow)는 먼 사촌의 아내였습니다. 그녀는 뭉크의 첫 성적경험 상대였고, 그들은 아스가르드스트란드(Åsgårdstrand) 근처의 숲에서 만나고는 했다고 기록됩니다. 밀리가 2년 만에 관계를 끝냈을 때 그는 고통스럽고 황량해했다고 합니다.
- 일부 학자들에 의하면 1894년 제작된 <재(Ashes)>에 표현된 여성이 탈로와 눈에 띄게 닮아있으며, 그녀와의 관계에 있어 절망에 빠진 자신을 표현했다고 해석되고 있습니다.

1897년 뭉크는 크리스티아니아(Kristiania, 현재 오슬로(Oslo))로 돌아왔습니다. 1899년 뭉크는 자유로운 상류층 여성인 툴라 라르센(Tulla Larsen)과 친밀한 관계를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함께 이탈리아로 여행을 떠났고, 돌아온 다음에는 <생명의 프리즈(The Frieze of Life)>를 포함한 작품제작에 매진했습니다. 라르센은 결혼을 열망했지만 뭉크는 그렇지 않았다고 합니다. 그의 음주와 건강악화는 결혼에 대한 그의 두려움을 더욱 증폭시켰습니다. 결국 뭉크는 1900년 툴라에게서 도망쳤고, 베를린으로 이주했습니다.

1902년, 그는 베를린 탈퇴 홀에서 자신의 작품을 주제별로 전시하여 많은 찬사와 또 많은 비판을 받았습니다. 베를린 비평가들은 대중이 여전히 그의 작품을 이질적이고 이상하다고 여겼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작품을 높이 평가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명성과 부를 얻어가고 있었지만 그의 감정상태는 여전히 불안했고, 그의 자기 파괴적이고 변덕스러운 행동으로 인해 다른 예술가와 격렬한 싸움을 벌였다고 합니다. 그리고 잠시 화해를 위해 돌아온 툴라 라르센 앞에서 실수로 총격을 가해 부상을 입게 되었고, 그녀는 결국 그를 떠나 뭉크의 젊은 동료와 결혼했습니다. 뭉크는 이것을 배신으로 받아들였고, 그 굴욕과 괴로움에 대해 한동한 빠져있었으며, 그 감정은 1906년~1907년 그린 <정물(The Murderess)>과 <마라의 죽음 1(Death of Marat 1)>에 표현되었습니다.


1908년, 그는 알코올 중독과 사람들과의 말다툼으로 인해 불안이 더욱 심해졌습니다. 그는 당시를 이렇게 기록했다고 합니다. "내 상태는 거의 광기에 가까웠습니다. 손만 대면 바로 가버릴 정도였습니다." 환각에 시달리던 그는 병원에 입원하였고, 심리적으로 안정되고 성격이 밝아지는 등 호전이 있었다고 합니다.
치료 덕분이었을까요. 1909년, 노르웨이로 돌아온 그의 작품은 비관적인 느낌에서 벗어나 다채로워졌습니다. 크리스티아니아(Kristiania, 현재 오슬로(Oslo))의 대중들은 마침내 그의 작품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박물관에서는 그의 그림을 구입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예술분야에서의 공로를 인정받아 성 올라프 왕립 기사단의 기사작위를 받기도 했습니다. 1912년에는 뉴욕에서 그의 첫 번째 미국 전시회가 열리기도 했습니다.
의사는 뭉크에게 좋은 친구들과만 어울리고 공공장소에서는 술을 마시지 말라고 조언했습니다. 그는 그 조언을 잘 따랐습니다. 그의 작품 또한 자신의 병적인 주제를 가끔씩만 언급하면서 생동감 넘치는 색생과, 넓고 느슨한 붓놀림으로 새로운 낙관적인 스타일을 보여줬다고 합니다. 그 결과 그는 부를 얻게 되었고, 마침내 가족을 부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했고, 그의 재정과 작품활동에도 영향을 주었습니다. 그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20년 동안 대부분을 오슬로(Oslo)의 스코옌(Skoyen)에 위치한 사유지 에켈리(Ekely)에서 보냈습니다. 대부분의 생활을 자급자족하며 고독하게 지냈다고 합니다. 그의 후기 그림 중 다수는 농장의 생활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그는 꾸준히 여성 모델을 끌어들였고, 수많은 누드화를 남기기도 했습니다. 때때로 벽화작업을 위해 집을 비우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그는 말년을 은신하며 평화롭게 작업을 이어갔습니다.
그는 삶을 마감할 때까지 지속해서 자화상을 남겼습니다. 그는 자신의 삶에 대한 감정적, 신체적 상태에 대한 해석을 추가했습니다. 1940년 독일군이 노르웨이를 침공하고 나치당이 정권을 장악했습니다. 당시 뭉크의 나이는 76세였습니다. 집 2층에 거의 모든 미술품을 보관한 채 그는 작품이 몰수되는 것을 두려워하며 살았다고 합니다. 이후 <The Scream>과 <The Sick Child>를 포함하여 압수된 그림 중 71점은 수집가의 구매를 통해 노르웨이로 반환되었으나, 나머지 11점은 나치들에 의해 숨겨졌습니다.
뭉크의 에켈리(Ekely) 공간
- 1916년에 그가 구입한 오슬로(Oslo) 외곽 스코옌(Skøyen)에 있는 11 에이커(ac) 규모의 부지이며, 1944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거주한 그의 영구 주거지
- 부지에는 묘목장, 온실, 1897년에 지어진 스위스 스타일 빌라, 넓은 과수원, 정자 및 다양한 별채가 포함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 목구조의 야외 스튜디오(남쪽 스튜디오, 북쪽 스튜디오)가 있었으며, 1920년, 작업공간을 늘리고 겨울에 작업할 수 있도록 아른스테인 아르네베르그 (Arnstein Arneberg)에게 겨울 스튜디오를 설계하도록 의뢰하였습니다. 그리고 10년 후, 당시 위대한 건축하 중 한 명인 헨리크 불(Henrik Bull)이 스튜디오를 재구성하고 확장했습니다. 건물은 1929년 완공되었다고 합니다.
- 현재는 겨울 스튜디오(Winter Studio)만 유일하게 보존되어 있고, 스튜디오 너머로 뭉크의 그림에 자주 등장하는 정자나무군락이 있습니다.





- 그는 자신의 집 짓는 과정이 담긴 이야기를 그림으로도 표현하였습니다.


- 뭉크는 자신의 자화상을 꾸준히 남겼습니다. 아래는 1919년 자신의 공간에서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자신의 모습을 표현한 그림입니다. 1940~1943년에 그린 그림은 말년의 노쇠한 뭉크가 자신의 침실공간에 서있는 모습이 그려져 있습니다.




뭉크는 1944년 에켈리(Ekely)에 있는 그의 집에서 80세 생일을 맞은 지 약 한 달 뒤 사망했습니다. 아쉽게도 1946년 오슬로(Oslo) 시가 그의 사유지를 매입했으나, 1960년 집은 철거되었습니다. 사망 후, 그의 집 2층에 문이 잠겨있는 방 안에서 회화 1,008점, 드로잉 4,443점, 판화 15,391점, 목판화, 에칭, 석판화, 석판화 등의 컬렉션이 발견되었다고 합니다. 자신의 어렵고 고통스러운 삶의 나날들을 수많은 그림으로 표현해 왔던 뭉크,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오늘날 그는 단 하나의 이미지를 만든 사람으로 유명해졌습니다. 선구적이고 영향력 있는 화가이자 판화가로서의 그의 전반적인 업적이 무색해진 부분입니다.
어려운 집안 형편으로 인해 이사가 잦았던 뭉크, 또한 그는 노르웨이에서 파리, 베를린...으로 작품활동과 전시를 위해 지속적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의 작품이 인정받고 형편이 좀 나아지자, 그는 여름별장을 구입할 수 있었고, 이후에는 겨울작업실이 있는 고향 오슬로의 넓은 땅과 집을 구매할 수 있었습니다. 또 그렇게 갖게 된 자신의 공간을 그는 세상을 떠날 때까지 간직하고 돌보며 살았습니다. 어둡고 침울하며 무거운 분위기의 그의 그림과는 달리 여름별장과 겨울작업실, 두 공간에서 남긴 작품들은 보다 활기가 있고 밝은 느낌입니다.
어린 나이에 가족의 죽음을 마주하고, 안정적이지 못하였던 가정환경 속에서 자란 그에게 어쩌면 <편하게 쉴 수 있는 따뜻한 자신만의 안식처>가 절실하지 않았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만큼 각각의 삶을 살아가는 공간이 우리의 마음을 돌보는 데 있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도 다시 한번 느끼는 바입니다.
'예술가의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실과 식물을 가꾸는 영국의 예술가 <올윈 보웨이(Olwyn Bowey)> (1) | 2024.04.25 |
---|---|
경이로운 탐험과 기록의 역사 - 여행가이자 화가, 식물학자인 '마리안 노스(Marianne North)' (0) | 2024.04.13 |
오스트리아의 공간 디자이너 조셉 호프만(Josef Hoffmann)의 집과 작품들 (0) | 2024.03.30 |
욕망과 슬픔이 담긴 에곤 실레(Egon Schiele)의 작품과 공간_ 오스트리아와 체코 (1) | 2024.03.29 |
여인을 화려하게 묘사하는 구스타프 클림트(Gustav Klimt)의 소박한 공간 (1) | 2024.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