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애월, 중산간에 위치한 작고 조용한 마을 <납읍리>, 제주에서 참 좋아하는 마을 중의 하나입니다. 납읍리에는 난대림 <금산공원>이 있습니다. 1993년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곳으로 제주시의 서쪽 평지에 남아있는 유일한 상록수림이라고 해요. 후박나무, 생달나무, 종가시 나무, 동백나무 등 상록교목 및 60여 종의 난대성 식물이 자라고 있으며, 원시적 곶자왈의 경관을 잘 유지하고 있는 곳입니다.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예전에 이웃마을 어음리에 살면서 산책과 운동삼아 자주 오르고는 했는데, 동네 뒷동산 같이 산책하기 좋은 규모에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기에 좋아하던 장소입니다. 납읍리 동네는 작은 마을이지만 초등학교, 보건소, 읍사무소 등 관공서들이 모여있기도 해요. 역사가 느껴지는 작고 다정한 관공서들과 낮은 슬레이트 지붕의 돌집들, 귤과 양배추 등을 재배하는 밭들이 어우러져 따뜻함을 느끼게 합니다.
그러한 납읍리 보건소 맞은편 옛집을 고쳐 운영하는 작은 카페가 있는데, <애월후식>이라는 곳입니다. 수플레 팬케잌을 좋아하기에 종종 들르게 되는 장소입니다. 개인적으로는 규모가 큰 카페보다 주인장의 취향과 솜씨가 느껴지는 작고 아기자기한 공간을 좋아합니다. 소품 하나하나에도 그들의 추억과 이야기가 느껴지는 곳, 공간으로 전하고 싶은 주인장의 생각 있구나... 느껴지는 곳이요.
공간은 유럽 작은 마을의 분위기를 표방하고 있습니다. 베이지 핑크의 컬러 톤으로 러프한 터치를 통해 벽을 마감하였고, 곳곳에는 파벽돌이 붙어있기도 합니다. 바닥 플로링 또한 빈티지한 느낌의 화이트톤으로 도색하였고요. 유럽 빈티지 가구들과 라탄 그리고 마끄라메 조명, 라탄과 패브릭, 촛대, 유리잔 소품으로 장식한 선반 등으로 공간의 분위기를 완성하였습니다.
화장실로 가는 벽면만 유일하게 투톤으로 마감하고 주인장의 모습을 그린듯한 그림을 걸어놓았습니다. 소녀스러운 공간과 참 어울리는 그림입니다. 단조로울 수 있는 공간에 포인트가 되며 아늑하고 따스한 느낌을 전달해줍니다. 벽에 걸린 그림을 돋보이게 하는 좋은 효과도 있네요. <애월후식> 카페에서 가장 시선을 이끄는 공간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투톤 벽체마감 인테리어에 대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몇가지 예시 사진들과 함께요. 이번에도 핀터레스트(Pinterest)에 참고하기 좋은 이미지들을 몇 개 가져왔습니다.
/ 투톤 인테리어 사례 /
세련됨과 고급스러움의 연출
투톤 벽체마감은 공간에 세련됨을 가져다 주기도 합니다. 특히 투톤 색상과 벽의 몰딩 디테일은 전통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며 클래식하면서도 현대적인 인테리어 스타일을 강조합니다.
공간의 비율 조정
어두운 색상의 하단부분이 공간의 비율을 조정하는 역할을 하며, 천장이 더욱 높아 보이게 만들기도 합니다.
가구와의 조화와 돋보임
투톤 중간에 몰딩이 위치함으로서 가구와 벽면 사이의 자연스러운 연결고리 역할을 하며, 가구가 돋보이도록 하기도 합니다. 특히 목재 서랍장의 자연스러운 색상과 벽면의 그림이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조화를 이루네요.
공간의 높이감 증대
천장의 화이트 컬러를 벽까지 내려서 칠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천장을 더욱 높아 보이게 만들어 공간에 높이감을 부여하기도 합니다.
밝고 개방적인 느낌
어둡고 차분한 컬러로 공간을 칠하고 싶지만 너무 좁고 답답한 느낌이 되지는 않을까 고민이라면 천정 컬러를 조금 내리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화이트 컬러는 빛을 반사시켜 공간을 더욱 밝고 넓어 보이게 만드는 효과가 있어, 침실의 편안함과 함께 개방적인 인상을 주기 때문입니다.
현대적인 감각
이런 방식은 전통적인 인테리어에서 벗어나 현대적이고 독특한 감각을 공간에 부여하기도 합니다.
시각적 흥미와 독특함
이번에는 조금 재미있는 시도입니다. 구조감있는 공간의 투톤 인테리어는 벽면에 시각적 흥미를 더하며, 공간을 더욱 독특하고 기억에 남게 만듭니다.
공간 구분의 명확화
다른 색상의 바닥타일과 벽체의 투톤 색상이 공간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각 영역의 사용 목적을 더욱 분명하게 합니다.
시간을 초월한 느낌
또한 이 이미지는 현대적인 컬러매치와 클래식한 가구 및 창문의 형태가 결합되어 모던하면서도 시간을 초월한 느낌을 제공합니다.
공간의 흥미로운 포커스 포인트
천정 까지 이어진 핑크색 포인트 컬러 공간은 누가 봐도 시선을 끄는 장소일 겁니다. 이러한 시도는 시각적 흥미를 더하며, 공간에 깊이감을 부여하지요. 벽에 걸린 장식품들은 핑크색 벽면을 배경으로 더욱 돋보이며, 공간의 포커스 포인트로 작용합니다.
페미닌하고 세련된 느낌
포인트컬러를 무엇으로 선정하느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사진에 연출된 핑크색은 페미닌한 느낌을 주며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를 연출하는데 기여합니다.
부드러운 대비와 따스함
핑크색과 크림색의 조화는 부드러운 대비를 이루며, 공간에 따뜻하고 포근한 분위를 더해줍니다.
공간의 깊이와 차원
재미있는 시도이지요. 분리된 두 공간을 연결하는 입구와 바닥을 연결하여 칠한 진한 녹색의 컬러는 벽면의 화이트와 대비를 이루며 공간에 시각적인 깊이를 더합니다. 구조적 요소들을 강조하여 차원감을 부여합니다.
현대적인 감각의 시각적 포인트 생성
아치형 구조에 사용된 녹색은 시각적 포인트를 생성하여 공간에 독특한 특징을 부여합니다. 아치형의 전통적 구조에 색상 대비를 통한 현대적 디자인은 새로운 스타일로서 다가오기도 합니다. 특히 이미지의 진한 녹색 컬러와 소품은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만들어줍니다.
시각적 흥미 증가
복도 같이 단조로운 기능의 공간에 입혀진 강렬한 색상의 천장은 하얀색 벽과 대비되어 시각적으로 매우 눈에 띄며, 이는 공간에 대한 흥미를 증가시킵니다.
현대적이며 예술적인 분위기 연출
강렬한 색상의 대비를 통한 컬러조합은 현대적이고 도시적인 느낌을 주며, 공간에 세련된 분위기를 더합니다. 벽면 높은 곳에 설치한 책장과 같이 새로운 시도가 더해진다면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공간으로의 매력을 가지게 됩니다.
공간의 높이감 조절
일반적으로 천장에 어두운 색상을 사용하면 공간이 낮아보일 수 있지만, 복도와 같이 좁은 공간에서는 오히려 높이감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현대적인 감각의 강조
참 재미있는 시도에요. 문의 세로면에만 파란색 페인트가 칠해져 있습니다. 이러한 독특한 시도는 전통적인 인테리어에서 벗어나 현대적이고 창의적인 감각을 강조합니다.
공간의 개성부여
이러한 세심한 디테일로 우리는 감동을 하곤 합니다. 공간에 개성과 캐릭터를 부여하며, 강한 인상을 남깁니다. 예상치 못한 방식으로 눈길을 끌며, 공간에 재미를 느끼게 만들죠. 공간의 주인이 누구인지 궁금하게 만드는 독특한 취향을 반영합니다.
예술적인 분위기
이번에는 그라데이션된 투톤 벽체입니다. 그라데이션 효과는 벽면에 예술적인 느낌을 부여하며, 공간에 독특한 개성과 창의성을 더합니다. 터치가 있는 그라데이션이면 더욱 그러하겠네요.
공간의 깊이와 명암효과
상단의 밝은 색상에서 하단의 어두운 색상으로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그라데이션은 공간에 깊이감을 주고, 시각적으로 명암효과를 만들어냅니다.
부드러운 전환
색상의 부드러운 전환은 강렬한 대비보다는 부드러운 분위기를 조성하며, 공간을 더욱 평온하게 만들어줍니다.
시각적 중심점 생성
또한 자체적으로 시각적 중심점을 형성하여, 가구나 다른 인테리어 요소 없이도 공간을 완성시킬 수 있는 매력을 가지고 있지요.
공간의 높이감 조절
일반적으로 어두운 색은 공간을 낮아보이게 할 수 있지만, 아래쪽에 좁은 밝은 색 영역을 두어 이 효과를 완화시키고, 천장이 더 높게 느껴지게 할 수 있습니다. 천정을 어두운 색으로 연결하면 더욱 좋겠습니다.
공간의 깊이감과 창의적인 시도
이미지의 투톤 색상과 질감은 공간에 깊이를 더하고 간결하면서도 풍부한 인테리어로서의 매력을 부각합니다. 창의적이고 독특한 인테리어요소로 작용하여, 공간에 대한 이야기와 개성을 더할 수도 있고요.
시각적 균형
아래 쪽의 밝은 색이 공간을 기초적으로 밝게 하면서 위쪽 넓은 면적의 어두운 색이 시선을 위로 끌어올려 공간의 균형을 맞춰줍니다.
이번에는 제주 애월의 작은 마을 <납읍리>에 갔다가 그림이 걸려있는 투톤 벽체에 이끌려 길게 이야기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몇 개 사례를 정리하여 이야기하면서 참 재미있었습니다. 이 글을 읽는 누군가에게도 도움이 되는 정보로 즐거운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여행에서 만난 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 교래리 카페 [말로]와 '말을 주제로 한 공간 디자인'에 관하여 (2) | 2024.02.20 |
---|---|
서귀포 카페 [쏠티브리즈] 와 서퍼(surfer)를 위한 공간 디자인 (2) | 2024.02.16 |
제주 레스토랑 <스누즈> 공간/음악/음식이 조화를 이루는 곳, 그리고 '네온사인'에 대한 이야기 (2) | 2024.01.31 |